E-Book

원하는 미래를 현실로 만드는 퓨처매핑

성공한은둔고수 2024. 3. 17. 14:35
반응형



살아 있는 마케팅 전설 ‘간다 마사노리’는 일본 최고의 경영 컨설턴트로서 “성공하는 사람들은 미래로부터 역산해서 현재의 행동을 결정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역산(逆算)적 사고는 미래의 이상적인 결과를 설정하고 그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이전의 단계를 어떻게 실행할지 방법을 찾아내게 한다.

이렇게 거꾸로 가는 백캐스트(Backcast) 방식은 단순히 갈망이 아닌, 선제적 미래 설정을 통해 잠재력을 깨워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많은 해결책을 시도하도록 한다. 간다 마사노리는 많은 경영 컨설팅을 통해 성공의 패턴들을 발견하였고, 저서 《스토리씽킹》에서 한 장의 차트로 요약한 것이 퓨처 매핑(Future Mapping)이다.



퓨처 매핑은 목표와 목표달성을 위한 아이디어를 도출한다. 목표를 향해 날아가도록 정교하게 설계된 자동추적장치와 같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면서 점진적으로 우측의 목표를 향해 날아간다.

이 방식은 글보다는 이미지(챠트)를 활용하여 목표달성에 성큼 다가간다. 특히 우측 상단에 그려 넣는 목표달성 시 느끼는 120% 행복한 상태는 잠재능력을 배가시킨다. 좌뇌(논리력)와 우뇌(상상력)가 만나는 접점이 현재와 미래가 만나는 접점이며, 목표를 향해 곡선 하단부분을 상상력을 활용하여 위로 밀어 붙이는 것이다. 전투로 치면 배수진이고 목표를 끝까지 해내는 힘, 그릿(GRIT)이라고 할 수 있다.

퓨처 매핑에는 목표달성 타임라인이 있어서 全 생애 계획, 3년 계획, 1년 계획, 3개월 계획, 1개월 계획, 주간 계획 등 기한에 따라 여러 개의 차트를 작성할 수 있다. 한 개의 차트는 반드시 하나의 액션을 동반하고, 그 액션은 킹핀을 쓰러뜨리는 무기가 된다. 주간 퓨처 매핑에 따라 매주 액션을 실천한다면 연간 52개의 액션이 이루어진다. 액션 너머에 내가 원하는 것이 있고, 액션의 횟수만큼 성공가능성은 올라간다. 여기서 더 나아가 정상적인 목표에 10배를 곱하여 대담한 목표를 정하고 도전해 보는 것이 10×퓨처 매핑이다. 그 목표는 말도 안 되는 것이지만 동시에 달성할 수도 있는 목표이고 가슴이 설렐 때 아이디어는 용솟음친다. 간다 마사노리는 인간의 능력과 잠재력은 무한하며 역산 행동방식(Backward Scheduling)과 초긍정적 셀프 이미지를 활용하면 놀라운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장애물은 있다. 우리는 주로 좌뇌(논리)적 사고를 하여 왔고 우뇌(상상)적 사고를 하는 데 미숙하다. 반면 동심을 가진 아이들은 퓨처 매핑을 금방 이해하고 의심 없이 따라한다고 한다.​



퓨처 매핑이 창조적 문제 해결기법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궤적은 직선이 아닌 곡선으로 진행된다. 오늘 잘되었다고 내일도 잘된다는 보장이 없다. 작은 성공과 좌절, 후퇴를 거듭하다가 목표치에 도달하고 그동안 많은 노력과 인내가 필요하다. 여러 차례 수렁에 빠졌다가 다시 올라와 보면 실력은 어느새 일취월장 향상되어 있다.

이런 패턴은 마치 골프 실력의 향상을 닮았다. 그러나 많은 도전자들이 중도에 포기하거나 무너지는 것이 현실이다. 골프뿐만 아니라 이 세상의 어떤 일도 부침 없이 우상향으로 직행하는 일은 없다. 퓨처 매핑은 미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긍정적 셀프 이미지와 감정이입, 스토리를 활용한다.

퓨처 매핑 차트를 활용하다 보면 자기계발서의 대부분이 이 범주 안에 있다는 생각이 든다. 나도 오래전에 퓨처 매핑과 유사한 효과를 직접 경험하였다. 5년 전 재직시절, 회사에서 생애설계과정이라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참여하였는데 금융 계열사에 근무하는 50세 이상 재직자들을 대상으로 한 2박3일의 합숙 교육이었다.

교육 직전 시행한 자체 설문조사에서 80% 이상이 55세에 퇴직하는 것이 목표이고, 퇴직 후에는 대부분 다른 직종에서 일하고 싶다고 했다. 모두 억대 연봉자들인데 지금 생각하면 언뜻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다.

수업은 실습과 롤 플레이로 이루어졌고, 각자 퇴직 후 하고 싶은 일과 기대월수입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때 발표한 내용이 이후 나의 생활패턴을 지배해 왔다는 것을 최근에야 알았다.

반응형